구글 서치콘솔은 색인 작업을 위해서 꾸준히 관리해주어야 하는 툴입니다. 구글 서치콘솔에 특별히 접속해야 하는 경우는 애드센스 승인이 된 블로그(홈페이지)에서 특정 포스트에 광고가 보이지 않을 때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글에는 광고가 잘 노출되는데 어떤 글에서는 광고가 나오지 않을 때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해서 색인 생성을 요청해야 합니다.

특정 글이 색인 생성되지 않았는지 의심될 때
구글 서치콘솔에 접속해서 왼쪽 메뉴에서 관리하려는 블로그(웹사이트)를 선택하고 'URL 검사'로 들어갑니다. 광고가 나오지 않는 글(색인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의심되는 글)의 URL을 복사해서 위쪽 검색창에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URL 검사 결과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음' 또는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문제 해결은 간단해집니다. 정말 문제는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날 때입니다.

실제 URL 테스트와 색인 생성 요청
이때는 두 가지를 조치해주어야 합니다. '실제 URL 테스트'와 '색인 생성 요청'입니다.
먼저 '실제 URL 테스트'를 눌러줍니다.

잠시 기다리면 결과 화면이 나옵니다. 결과는 2~3가지로 나올 수 있습니다.
-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지만 문제가 있음
-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없음



-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지만 문제가 있음: 창 하단에 보면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즉 해결할 가능성이 큰 것입니다. 바로 눌러줍니다.
- URL이 Goog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음: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이 꺼져 있습니다.
-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없음: '색인 생성 요청' 버튼이 꺼져 있습니다.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이 두 가지 경우는 색인 생성 요청을 즉시 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왜 그럴까요? 검색을 통해 비슷한 현상을 겪은 블로거들의 증언에 따르면 다음 두 가지 경우라고 합니다.
1. 구글 크롤러(검색봇)이 페이지를 발견하지 못했다.
2. 구글 크롤러(검색봇)이 페이지를 발견했지만, 색인을 만들어서 서버에 저장할 만한 페이지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1번 경우에는 크롤링봇(검색봇, 구글봇)이 내 페이지를 잘 긁어가서 데이터로 저장할 때까지 기다리거나, 주기적으로 서치콘솔을 확인하면서 'URL을 Google에 등록할 수 있음' 상태로 바뀔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이 최선입니다.
2번 경우에는 페이지, 즉 내가 쓴 글(포스트)이 제대로 된 글인지 먼저 평가해봐야 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글을 작성하고 비공개로 발행했다가 나중에 공개로 다시 발행했을 때, 글을 발행하고 글 제목을 수정했을 때, 글을 발행하고 글을 삭제했을 때 등의 경우에 URL 등록에 문제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런 기술적인 문제 말고도, 내가 작성한 글이 h1 태그 등 SEO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글을 아주 짧거나 맥락이 없는 경우에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블로그 인기글
윈도우10 자동 로그인으로 비밀번호 없이 바탕화면 들어가기 (사용자 계정, PIN 삭제 설정)
컴퓨터 전원을 켜고 윈도우10 부팅시에 로그인 화면이 나오고 비밀번호나 PIN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사용자 계정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한 경우에 바탕화면 전에 한 단계를 더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건너뛰고 바로 바탕화면으로 들어가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크게 보면, 사용자 계정에서 비밀번호를 아예 입력하지 않는 경우와, 비밀번호를 미리 입력해놓고 자동 로그인 되도록 하는 경우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 컴퓨터 전원 버튼을 켜고 윈도우로 진입할 때 로그인 화면이 나옵니다. 누가 이 컴퓨터를 사용할 것인지 묻는 겁니다. 요즘에는 윈도우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되어서 로그인 하면 바로 앱을 쓸 수 있게 설정되어 있어서, 로그인 옵션이 복잡해졌습니다. 사용자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
hmind.tistory.com
구글 지메일 만들기 _Gmail 계정 추가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계정이 필요합니다. 계정 아이디(id)는 이메일 주소로 만드는데, 구글이 기본 제공하는 지메일(Gmail) 계정을 만들면 됩니다. 구글 서비스를 이용할 때 계정이 여러 개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지메일 계정을 추가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 설명하는 대로 따라하면 필요에 따라 지메일 계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 Gmail 계정? 뭐가 다를까 구글은 여러 가지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검색, 지메일, 유튜브, 지도 등 익숙한 서비스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아마도) 유튜브, 그 다음에 Gmail이겠지요. 이렇게 여러 가지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 사용자는 본인 증명을 해야 하고 서비스 관리를 수월하게 하..
hmind.tistory.com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2편 (기본 설정과 블로그 관리)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들었으니 이제 블로그 기본 설정을 할 차례입니다. 기본 설정에는 한번 정해두면 다시 손대지 않아도 될 항목이 많기 때문에 블로그 개설 직후에 작업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물론 나중에 블로그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시로 설정사항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무방합니다. 기본적인 내용만 빨리 훑어보겠습니다. 5분도 채 안 걸릴 겁니다. 주의 사항 블로그 관리 페이지에서 기본 설정을 할 때, HTML 편집에서 부분에 코드를 넣어서 승인을 받아놓고 나서 스킨을 바꾸면 해당 코드 내용이 삭제되거나 꼬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 스킨마다 HTML 코딩 내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한번 스킨을 정했다면 스킨 변경 없이 쭉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물론 부분을 백업해서 스킨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번거롭고 시간..
hmind.tistory.com
'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서치콘솔에서 URL 색인 생성 요청하기-수동 크롤링 (0) | 2023.02.19 |
---|---|
구글 크롬 맞춤설정 (다계정 사용자를 위한 첫화면, 테마설정) (0) | 2023.02.18 |
구글 지메일 만들기 _Gmail 계정 추가 (0) | 2023.02.12 |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 _서치콘솔이 도와준 것인가 (0) | 2023.01.30 |
구글 계정 로그인 목록 삭제_현재 사용한 PC에서 정보 지우기 (1) | 2023.01.05 |
댓글